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천문과학
우주개발
심층기획
SCIENTIST
HISTORY
ISSUE
이달의 밤하늘
카드뉴스
연재
천체 갤러리
칼럼
다큐/영상
천문과학
우주개발
심층기획
SCIENTIST
HISTORY
ISSUE
이달의 밤하늘
카드뉴스
연재
천체 갤러리
칼럼
다큐/영상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천문과학
우주개발
심층기획
이달의 밤하늘
카드뉴스
연재
천체 갤러리
칼럼
다큐/영상
신문사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천문과학
천문과학
다음
이전
천문과학
도착!여기는 화성! - 퍼시비어런스
지난 2020년 7월 30일 저녁 8시 50분(한국시각) 발사되었던 나사의 화성탐사선 퍼시비어런스가 화성에 도착했습니다.! 4억 7천 100만km를 6개월 이상 날아 화성에 도착한 것 입니다. 퍼시비어런스는 우리에게 화성에 내려앉아서 찍은 인증샷을 보내주기도 했습니다. Perseverance 퍼시비어런스 - 인내
우민경 기자
2021.02.26 17:50
천문과학
정월'大'보름?
코로나로 인해 민족 대명절인 설날이 조용히 지나가고 이제 곧 정월대보름이 다가온다.설이 지난 후 음력 1월 15일은 정월대보름이며 올해는 2월 26일이다. 정월대보름 하면 어떤 것들이 떠오를까? 도시생활속에서 점점 잊혀져 가고있지만 시골에 가면 달집 태우기나 쥐불놀이 같은 것들을 그리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뿐만아니
한효정
2021.02.15 17:47
천문과학
하루는 왜 24시간일까?
하루는 왜 24시간일까?웬 뚱딴지같은 질문이냐고 하실 분들도 계실 것 같네요.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가 그냥 갑자기 든 뜬금없는 생각에서 이런 의문이 나왔습니다. 여기까지 생각이 흘러오기까지 무척이나 복잡한 단계가 있었는데 그런 얘기는 다음에 기회가 닿으면 하도록 하죠. 일단 의문이 생기고 나서 몇가지 가설을 세워보았습니다
김정현 기자
2021.02.04 18:07
천문과학
[Astronomy]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 올버스 패러독스
하인리히 올버스 (Heinrich Olbers ; 1758 ~ 1840)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어떻게 보면 참 우스운 질문이고 어떻게 보면 철학적인 질문인 듯도 합니다. 사람들은 그냥 '태양이 없으니까 당연히 어둡지. '라는 대답을 하게 되죠. 이쯤 되고보면 '밤하늘이 왜 어두운가? '라는 질문은 어리석
한효정
2021.01.22 16:14
천문과학
"제9행성 아닌 작은 천체 집단중력이 다른 궤도 만들어"
태양계 끝에 과연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행성X 또는 제9 행성이 존재하는지를 둘러싼 논쟁이 뜨거워질 전망이다.제9 행성 가설은 카이퍼 벨트의 작은 천체를 비롯한 해왕성 바깥의 천체(TNO) 대다수가 태양 주변을 원에 가깝게 같은 방향으로 돌고 있는 것과 달리 길쭉한 타원형 궤도로 도는 천체가 잇따라 발견되면서 힘을 얻었
스페이스타임즈
2019.05.02 18:23
천문과학
"지구를 지켜라"…2027년 소행성 충돌 모의 훈련
"8년 뒤 지구충돌 확률이 100분의 1에 달하는 소행성 '2019 PDC'로부터 지구를 지켜라."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인류에게 엄청난 재앙을 가져다줄 수도 있는 소행성의 지구충돌에 대비,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마련해 지구방어 도상훈련을 진행한다. 25일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 따르면 다음 주 열리는 '2
스페이스타임즈
2019.05.02 13:44
천문과학
[Beginer] [전설] 금바가지 속의 일곱 개 다이아몬드 (북두칠성)
난이도:*러시아의 어느 시골에 나타샤라는 소녀가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었습니다. 두 사람은 나무를 하거나, 얼마 되지 않는 밭을 일구면서 아주 어렵게 생활을 해 나갔습니다. 그러던 어느 해, 초여름의 일입니다. 마을에 큰 가뭄이 들어 우물이 완전히 말라 버리게 되었습니다. 작은 강도 모두 다 말라서, 한 방울의 물도 구할
신하영
2018.01.31 11:57
천문과학
[Beginer] [전설] 곰의 꼬리가 긴 까닭 (큰곰자리)
난이도:*해가 완전히 저물어 컴컴해진 숲속을 한 마리의 곰이 걷고 있었습니다. 곰은 자신도 모르게 숲속 깊은 곳까지 들어가더니만, 이내 길을 잃고 말았습니다. 어느새 태양은 서쪽으로 넘어가고, 하는 수 없이 곰은 숲속에서 하루 밤을 지낼 수밖에 없었습니다. 밤이 깊어지자 숲속 여기저기에서 와삭와삭 하는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신하영
2018.01.31 11:56
천문과학
[Beginer] [전설] 남두육성(궁수자리)
난이도:*옛날 중국의 위나라에 간로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간로가 길을 가다가 남양이라는 마을을 지나게 되었는데, 그 곳에서 어떤 아이를 보게 되었습니다. 간로는 앞을 내다볼 수 있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혀를 차면서 "이 아이,, 명이 짧겠어" 하고 말했습니다. 그 말을 들은 아이의 아버지는 놀라면서 어떻게
신하영
2018.01.31 11:11
천문과학
[Beginer] [전설] 꿈에 만난 지혜로운 사람 (전갈자리)
난이도:*중국 은나라 시대의 일입니다. 은나라는 그 즈음 점점 나라 안이 어지러워지게 되어서 사람들의 생활도 나날이 나빠지게 되었습니다. 그때 나라를 다스리고 있던 사람은 무정이라고 하는 천자였습니다. 무정은 쇠퇴하기 시작한 나라를 다시 세우려고 고심하였습니다. 그러나, 한번 무너져 내리기 시작한 나라를 다시 세운다는 게
신하영
2018.01.31 11:07
천문과학
[Astronomy] 천문학에 관한 지식
상단 그림 : 마르둑 원통 인장/천문학에 관련된 고대의 지식은 상당히 중요하다. 그것은 농사를 짓는 시기와 계절의 변화등 인간의 의식주와 밀접한 관련을 맺기 때문이다. 이집트에서는 시리우스가 신성시 되었는데 이는 나일강의 범람과 시리우스의 출현이 같은 시기에 일어났기 때문이다. 결국 별을 숭배하는 의식은 인간의 먹거리와
신하영
2018.01.30 16:59
천문과학
[Astronomy] 천문 용어 정리(1) ㄱ - ㅅ
난이도:*****가우스(Gauss: G) :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물리적 단위. SI단위로는 테슬라(Tesla)이지만 천문학자들은 가우스를 더 많이 쓴다. (104가우스=1테슬라) 갈릴레오 위성(Galilean moons) : 갈릴레오가 망원경으로 발견한 목성의 4대 위성 (이오, 에우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갈색
신하영
2018.01.30 16:51
천문과학
[Astronomy] 천문학자 이야기 두번째 - 히파르코스
난이도:*히파르코스(Hipparchos B.C 190~125) 히파르코스는 기원전 190년 에게 해에 자리잡은 로도스 섬의 평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당시는 지중해의 판도가 바뀌고 있던 때였다. 알렉산더 대왕이 지중해를 정복한 이후 그리스 과학의 중심지는 아테네에서 알렉산드리아로 옮겨가고 있었던 것이다. 평민 가정에서 태어
신하영
2018.01.30 16:19
천문과학
[Astronomy] 천문학자 이야기 첫번째 - 아리스토텔레스
난이도:*들어가는 말 교과서에 나오는 모든 과학자들은 너무나 훌륭하다고 생각하곤 했습니다. 뉴턴에 대해서는 "어떻게 지난날의 그 모든 과학 식들을 다 정리했을까?" 하고 생각했고, 티코 브라헤는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가장 위대한 발견을 이끈 과학자라고 생각했으며, 케플러도 역시, 티코의 제자로서 어떻게 그 세가지 법칙
신하영
2018.01.30 16:03
천문과학
[Astronomy] 별을 바라보는 사람들(다시쓰는 뉴튼/아인슈타인) -1-
난이도:*솔직히 뉴턴과 아인쉬타인을 다시쓴다고는 했지만, 내가 천문학자도 아니고.. 이제 겨우 천문학에 발을 들이민 사람으로 모 아는게 있다고 -_-;;;;; 여하튼 별다솜 가족여러분들과 약속한 다시쓰는 아인쉬타인 프롤로그가 올라갑니다. 본글은 에세이 형식과 강좌 형식 둘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본글의 저작권은 거만한 본인
신하영
2018.01.30 16:01
천문과학
[Astronomy] 천문 용어 정리(3) ㅌ - ㅎ
난이도:*****타르시스 산맥(Tharsis ridge) :화성에서 올림푸스 산을 포함한 화산들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 타우 입자(tau) :경입자 중의 하나. 타원(ellipse) :두 고정점에서부터의 거리의 합이 일정하게 되는 점들의 궤적. 타원 은하(ellipse galaxy) :별들이 중력적으로 묶인 거대한 체계로
신하영
2018.01.30 16:01
천문과학
[Astronomy] 블랙홀 증발 이론
난이도:****1969년 미국의 휠러(Wheeler)에 의해 명명된 블랙홀은 호킹 박사에 의해서 그 끝이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끝은 증발이라고 합니다.) 시나리오화 하면... 1.블랙홀의 주변 사상의 지평면 가까이에서는 입자와 반입자의 쌍이 생겼다가는 없어지고 없어졌다가는 다시 생긴다. 2.그 중의 몇몇의 입자나 반입자
신하영
2018.01.30 16:00
천문과학
[Astronomy] 뉴턴과 아인슈타인 (3)
난이도:***-드디어 떳습니다. 이번에는 뉴턴의 방정식이전에 아인쉬타인의 상대성 원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좋은하루 되십시오 알버트 아인쉬타인 "시간과 공간에는 절대라는 단어가 없다. " 서두는 이렇게 꺼내고 싶다. "나는 아인쉬타인이 싫다." 물론 나뿐만이 아니라. 모든 물리학과 학생이 그러겠지만 내가 맨처음
신하영
2018.01.30 16:00
1
|
2
|
3
|
4
내용
내용